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라라랜드’를 거부하며 (글 천정환)
    대중음악아카이브/분석과 비평 2017. 2. 24. 16:46

    원문보기: http://go9.co/IQS


    [정동칼럼]‘라라랜드’를 거부하며

    2017.02.07



    영화 <라라랜드>를 보고 나서 큰 의문과 회의에 휩싸였다. 여기저기서 가져왔다지만 장면들은 예뻤고, 평범한 대로 음악도 듣기 좋았다. 특히 ‘달콤 쌉싸름한’ 사랑 이야기가 관객들의 호응을 얻을 만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럼에도, 결정적으로 영화의 큰 줄거리에 도무지 공감하기 어려워, 마음속 ‘별점’을 두 개 반 정도만 줬었다. 약간의 고뇌와 좌절을 겪지만 젊은 백인 미남 미녀가 젊은 날의 ‘꿈’이라는 것을 장쾌하게 이뤄버린다는 성공 서사가 단순하고도 이상했다. 내가 본 LA는 트럼프가 싫어한다는 멕시코, 코리아, 차이나 등에서 온 키 작은 노동자들의 도시이기도 했다.


    현실이 어려울수록 판타지의 미감이 더 빛을 발할 수 있고 이야기를 깊이 있게 하는 데 제약이 있는 뮤지컬 양식을 빌렸다는 점을 감안해도 납득이 안됐다. 그러나 영화 사이트를 보니 서사나 주제에 비판적인 사람들은 소수에 불과했고 영화는 최고의 찬사를 받고 있었다. ‘완벽하다’ ‘황홀하다’면서 수사의 파티를 벌이고 있는 것은 특히 영화 비평가들이었다. 비평은 형식주의에 기울어 퇴락했는가? 내게 이 영화는 예쁜 판타지라기보다 거친 자기계발 서사로 보인다.


    남자 주인공은 전능자다. 마음껏 ‘예술과 상업성’ 사이를 왕래하며 다 성취한다. 여자 주인공의 꿈을 이루는 데도 결정적인 도움을 준다. 그녀도 ‘꿈’이란 걸 멋지게 이룬다. 도대체 그 ‘꿈’은 무엇인지? 공연 첫날에 막강한 캐스팅 디렉터의 눈에 띄어 벼락 스타가 되는 것? 역시 ‘캘리포니아 드림’이며 할리우드다. 꿈과 현실 사이엔 거의 아무런 장애가 없다. 고뇌와 성장통은 죄의식 없는 ‘성공’이라는 것을 더 맛깔나 뵈게 하는 양념 간장 정도다.


     누구나 되고 싶은 것(욕망)과 할 수 있는 것(능력·현실) 사이의 차이 때문에 좌절을 겪는다. 더욱이 저 항목들은 절대평가되지 않고 철저히 상대평가된다. 우리는 ‘타인의 욕망’을 내 삶 위에 겹쳐보며 욕망과 능력 사이의 괴리를 더 아프게 느낀다. 어떤 고매한 분들은 ‘네 자신의 삶을 살라’는 조언을 주지만, 그것은 기껏 위약이거나 또 다른 성공 전략의 일부다. 평생-상대평가-시스템으로부터 탈주하여 ‘진정한 자신’이 되는 것은 속세에서는 거의 불가능하다. 아이건 어른이건 우리는 상대평가에 너덜너덜해진 자의식을 늘 매만지고 우울해한다.


    특히 등수 매기기와 경쟁을 처절히 버티고 내면화하며 자라온 젊은 친구들은 20%쯤의 자기긍정과 10%의 정신승리, 나머지는 온통 자기비하와 그것을 견디는 방어기제로 된 ‘뇌구조’를 갖고 있는 것 아닐까? 비율은 대학서열, 다니는 직장의 종류, 외모에 대한 자신감에 따라 다를 수 있다. 그러나 압박감은 비슷하다. 10~20대 자살률이 증명한다. 본의 아니게 저고용 초고령화 사회에 태어난 그들은 아직 도착하지도 않은 4차 산업혁명이나 인공지능(AI)과도 전투를 벌여야 한다. 그래서 그들은 실로 복잡하고 치열하게 고뇌한다. 이런 헬조선에서의 고민은 <라라랜드>의 그것과 차원이 다르다.


    한국에서 자라나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평범한 직장인·노동자나 영세 자영업자가 된다. 그런데 이 사회는 평범한 사람이 헤쳐 살아가야 하는 자본주의 사회의 실제 메커니즘과 윤리는 가르치지 않는다. 유럽의 어떤 나라들처럼 중·고등학교 때부터 노동자의 권리와 근로기준법 같은 진짜 삶의 규범을 가르치지는 못할망정, 막연히 ‘꿈을 이뤄야 한다’거나 ‘성공해야 한다’는 바람을 집어넣는다. 평범한 사람들의 노동과 연대에 대한 경멸과 증오도 불어넣는다. 그것은 물론 ‘타인의 욕망’과 자기경멸을 가르치는 것에 다름 아니다. 그래서일까? 초등학생들도 아이돌이나 건물주가 되는 게 ‘꿈’이라 하고, 스물 몇 살 된 친구가 ‘제가 아직 이룬 게 없어요’ 같은 말을 한다.


    가난과 평범은 실패가 아니다. 그런데 계급, 학벌, 젠더로 가로놓인 엄청난 격차가 대다수의 인간을 엑스트라나 들러리처럼 초라하게 만든다. 그래서 한쪽에서는 ‘꿈’이라는 환각을, 다른 한쪽에서는 분노와 자포자기를 대량생산한다. 노조 가입률이 10%밖에 안되고, 을과 병들이 늘 아귀다툼을 하는 사회에서 이런 마음의 악순환은 자연스러운 것일지 모른다.


    물론 노래와 춤이 꿀처럼 흐르고 ‘내 꿈이 이뤄지는’(feat. Park GH) 라라랜드에 살고 싶다. 하지만 그보다 먼저 근로기준법이 지켜지고 칼퇴근·생리휴가·육아휴직이 불이익이 되지 않는 사회, 노동조합 활동가와 가난한 예술가들이 블랙리스트에 오르지 않는 사회, 평범한 행복과 작은 성공이 죄스럽지 않은 ‘랜드’로 가고 싶다. 그래서 또 촛불을 든다.


    <천정환 | 성균관대 교수·국문학>



    원문보기: 

    http://m.khan.co.kr/view.html?artid=201702072043015&code=990308&utm_campaign=share_btn_click&utm_source=facebook&utm_medium=social_share&utm_content=khan_view#csidx28e1cf0be4c76b89d62f03f9e0524ac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