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한국 대중음악의 시작 (출처: 벅스)
    대중음악아카이브/음악지식 2020. 8. 5. 22:11

    원문: https://music.bugs.co.kr/musicpost/X8IKJUEWN0XIE2OGRG1Z?wl_ref=list_sp_03_series

     

    한국 대중음악 100년의 역사와 기록 1편 - 한국 대중음악의 시작

    벅스와 한국대중음악박물관(kpopmuseum.com)에서는 광복 70주년을 기념하면서 한국대중음악 100년의 역사를 기념하고자 ‘한국대중음악 100년의 역사와 기록’이라는 타이틀로 본 연재를 게재한다. �

    music.bugs.co.kr

    벅스와 한국대중음악박물관(kpopmuseum.com)에서는 광복 70주년을 기념하면서 한국대중음악 100년의 역사를 기념하고자 한국대중음악 100년의 역사와 기록이라는 타이틀로 본 연재를 게재한다. 첫번째 연재로는 1907년 첫 음반이 발매된 당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한국대중음악 100년사의 주요 흐름을 간략하게 요약해서 소개한다. 그리고 다음 글에서는 한국대중음악의 태동기인 1930년대부터 각 시대를 대표하는 음반과 주요 음악사를 소개할 예정이다.

     

    <한국의 대중음악>

     

    대중음악이라는 의미는 음악적 지식이 없어도 누구나 연주하고 들으며 즐길 수 있는 음악을 의미한다. 때문에 대중음악은 시대를 아우르는 유행적인 요소와 유희적 오락성, 그리고 상업성을 지니고 있다. 대중음악의 토대는 구전으로만 이루어지던 방식에서 녹음 기술에 의해 저장과 소장의 개념이 생기면서 산업으로 성장해 나왔다.

     

    최초 유행가라는 용어로 지칭되던 한국대중음악은 100여 년의 역사를 지니고 있다. 각 시대별로 시대의 거울과 같았던 한국대중음악은 정치, 사회, 경제적 흐름에 맞춰지거나 선도하는 역할을 담당해 나오며 발전해 나왔다.

     

    <한국대중음악은 시대의 거울>

     

    민요와 유행 창가의 시대를 지나 일제강점기에 태동되었던 한국대중음악은 나라를 잃은 조선인의 상처 입은 마음을 위로하며 비장하게 출발했다. 해방의 감격을 함께 맞이한 한국대중음악은 이데올로기의 충돌로 빚어진 분단과 민족적 비극인 한국전쟁으로 신음하던 한국인에게 기쁨과 위로의 기능을 발휘했으며, 전쟁으로 황폐화된 국토와 가난의 상징인 보릿고개를 극복시킨 60년대에는 국가 재건과 문예부흥에 일조하기도 했다.

     

     

    전세계적인 음악적 기류가 넓게 번지기 시작하면서 사전검열 등으로 대중문화 자체가 위축되기도 했던 70년대의 한국대중음악은 청년문화를 잉태하며 순수와 낭만적 분위기를 꽃피우는 단계를 거쳤다. 그리고 민주화와 국제화에 박차를 가했던 격변의 80년대에는 다양한 장르를 양산했으며, 경제적 풍요와 IMF환란 등으로 나라경제가 흔들리던 90년대에는 대중음악의 새로운 정립과 활로가 개척되면서 한류문화를 탄생시켰다. LPCD의 시기를 지나 MP3 등 디지털 방식으로 감상이 대체된 2000년대에 이르러 한국대중음악은 SNS를 통해 K-POP의 우수성을 세계인에게 알리며 국가 브랜드마저 높이고 있다.

     

     

    벅스와 한국대중음악박물관(kpopmuseum.com)에서는 광복 70주년을 기념하면서 한국대중음악 100년의 역사를 기념하고자 한국대중음악 100년의 역사와 기록이라는 타이틀로 본 연재를 게재한다.

     

    <한국인의 소리 역사>

     

    소리가 기계에 담긴 최초의 순간부터 한국인들의 음성은 기록으로 남겨져 왔다. 세계적으로 음파를 기록하고 음반을 회전시켜서 음성을 재생하는 역사는 에디슨이 1877년 틴포일 유성기에서 전기로 구동되는 유성기인 ‘Perfected Model’을 선보이면서 시작되었다. 무쇠로 만든 대반 중앙에 두 개의 베어링식 기둥을 세우고, 한 쪽에는 손잡이와 다른 한 쪽에는 축이 돌아갈 수 있도록 만든 모양이었다. 그리고 그 축의 가운데에는 금속 철판으로 만든 실린더를 고정시켰고, 그 곳에는 1인치당 10줄의 소리골, 즉 홈이 새겨져 있었다. 당시의 유성기는 지금의 전기와는 전혀 다른 습식전지로 움직이는 고가의 제품이었으며, 그만큼 위험한 장치이기도 했다.

     

    우리나라 사람의 목소리가 처음으로 기계에 담긴 사례는 고종 24년인 1887, 선교사 알렌(N.H.Allen)에 의해 녹음된 것으로 기록되고 있다. 당시에는 가격과 위험성 면에서 유성기가 아닌 뮤직박스에 그 소리를 담은 것으로 추정된다. 공식적으로 국내 음반역사는 1907년 미국 콜롬비아레코드에서 [Korean Song]으로 제작한 유성기 음반에서 시작되었다. ‘소리가 나는 마술 상자로 불렸던 유성기 음반(SP, Standard playing)10인치 크기로 앞 뒤 면에 한 곡씩을 담았는데, 간혹 7인치 형태의 음반이 제작되기도 했다. 1908년 미국 빅터레코드 역시 한국인의 소리를 담은 음반제작을 시작했는데, 이동백의 판소리 '적벽가'가 대표적인 예이다.

     

    국내에서 초창기 음반에 참여한 이들은 권번 기생들이나 국악을 하던 여성들을 중심으로 국악 장르가 주를 이뤘다. 또한 초창기 음반 제작은 미국과 일본이 주도했으며, 1920년대부터 1930년대까지는 대부분 일본에서 제작될 수밖에 없었다. 1907년 일미축음기제조회사(日米蓄音機製造會社)를 발족한 일본은 1910일본축음기상회로 사명을 바꾼 19119월부터 한국인의 음반을 녹음하기 시작했으며, 1913‘NIPPONOPHONE’ 라벨을 사용해서 [조선 신음보 1]라는 타이틀로 판소리와 속요, 찬송가 등의 양면 반을 발매했다.

     

    <최초 대중가요 논쟁>

     

    음악에 있어서 어느 시대, 어떤 장르에서건 최초의 논쟁은 있기 마련이다. 음악은 음반으로 기록되고 기억된다. 때문에 한국 최초의 대중가요에 대한 의견은 아직까지도 분분한 것이 사실이다. 최초의 대중가요에 대해 일동축음기주식회사에서 1926년에 발표된 윤심덕의 사의 찬미를 가장 많이 언급한다.

     

    이 곡은 윤심덕의 동생 윤성덕이 피아노를 담당했으며, 엄밀히 이 곡은 루마니아 작곡가 이바노비치(Ivanovici)의 관현악 왈츠인 다뉴브 강의 잔물결(Danube Waltz)’의 선율에 한국어 가사를 붙인 번안곡이라는 점 때문에 최초 논쟁에서 다소 예외일 수 있다. 다만 1920년대 발표된 음악 가운데 대중들에게 가장 널리 알려진 노래라는 이유가 크기에 최초의 논쟁 안에 여전히 놓이고 있다.

     

    1) 이바노비치: ()의 찬미(讚美)

     

    박채선과 이류색이 1925년에 무반주에 이중창으로 부른 이 풍진 세월(희망가)’는 일축축음기 동경지부장 이세기가 종로에 조선축음기상사를 차린 뒤 일본에서 제작한 음악으로 4분의 3박자의 왈츠 풍에 따라 부르기가 매우 편안한 노래이다. 일본 유학생들이 국내에 소개해서 한동안 일본곡으로 알려져 있었지만, 원곡은 제레미아 잉갈스(Jeremiah Ingals)가 작곡한 찬송가 ‘When We Arrive At Home’이다. 때문에 이 곡 역시 최초의 대중가요로는 타당하지 않은 사유를 지닌다.

     

    2) 이 풍진(風塵) 세월(歲月)

     

    애닯은 가사와 안정된 멜로디가 인상적인 안기영의 내 고향을 이별하고는 정사인이 작사하고, 작곡을 한 순수 창작곡이다. 현제명과 함께 쌍벽을 이루던 젊은 테너가수였던 안기영이 공교롭게도 미국으로 떠나기 직전에 녹음한 곡이 바로 내 고향을 이별하고이다. 분단 이후 북한에서는 사향가라는 제목으로 편곡이 되어 불려 지기도 했다. 그러나 이 곡은 창가의 멜로디 구성과 판이하게 다른 독특한 음의 진행으로 완성된 곡이지만, 대중가요가 아닌 가곡으로 보는 시각이 일각에서 제기되면서 최초 논쟁에서 일편 부담스러운 위치에 놓여 있다.

     

    3) 정사인: 내 고향을 이별하고

     

    일각에서는 단성사에서 1927년 개봉되었던 이구영 감독의 무성영화 낙화유수의 주제가로 삽입되었고, 1929년에 음반으로 발매된 이정숙의 낙화유수(강남달)’를 한국인이 창작한 최초의 대중가요로 보는 시각이 큰 편이다. 3절로 구성된 이 노래는 4분의 3박자의 왈츠리듬으로 5음계 기법이 적용된 노래로서, 전문적인 기교보다는 소소한 멋을 지닌 곡으로 통한다. 또한 이 곡은 당시에 주를 이루던 전형적인 일본식 창법을 벗어난 곡으로 영화 아리랑의 주제곡과 동요를 주로 불렀던 이정숙이 가창을 담당했다는 점도 돋보인다. 이후 낙화유수1930년 인기 배우 김연실이 처음 리메이크한 이후 황금심과 신카나리아, 한영애에 이르기까지 많은 가수들에 의해 새롭게 불려 지면서 정감있는 대중가요로 남겨져 있다.

     

     

    이 밖에도 192511월 동아일보에 실린 음반광고에는 김인식의 거룩한 성’, 도월색의 압록장절’, 김산원의 장한몽가등의 창작곡이 있다고 주장하는 의견도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이 곡들은 모두 일본 유행가를 번안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는 평가다.

     

    한국대중음악박물관에는 최초의 대중가요 논쟁의 중심에 있는 4장의 음반 외에도 여러 희귀 유성반이 국내 최초로 상설 전시되고 있다. 결과적으로 한국 최초 대중가요에 대한 정확한 정례는 학자와 평단, 음악관계자들에 의해 정리가 필요한 대목이겠다.

     

    1907년 첫 음반이 발매된 당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한국대중음악 100년사의 주요 흐름을 간략하게 요약해서 소개한다.

     

    <1907, 한국 음반의 여명기>

    국내 음반의 역사는 1907년 미국 콜롬비아레코드에서 [Korean Song]으로 제작한 유성기 음반부터 시작되었다. 1908년 미국 빅터레코드는 이동백의 판소리 적벽가를 발매하는 등 초기 국내 음반 제작은 민요와 국악이 주가 되어 진행되었다. (해당 앨범은 음원권리사의 요청으로 일부 서비스 이용이 제한되어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리겠습니다.)

     

    <1920년대, 최초 의미가 다양하게 부여되기 시작한 대중음악 태동기>

    국내 최초의 대중가요는 안기영의 내 고향을 이별하고’, 이정숙의 낙화유수’, 박채선과 이유색의 이 풍진 세월(희망가)’, 윤심덕의 사의 찬미등이 언급되고 있지만, 아직까지도 학계에서 확실한 정립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1930년대, 일제 강점기 시대의 슬픔을 달랜 대중가요>

    한국대중음악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이 시기에 발매된 유성기음반 라벨에는 노래의 장르를 다양하게 분류시켜서 발매했으며, 많은 레코드사들도 등장했다. 최초의 대중가수인 채규업과 이화중선, 이애리수, 전옥, 왕수복, 남인수, 이난영, 김정구, 이은파 등 전문 보컬리스트들이 다수 등장한 때이기도 하다.

     

    <1940년대, 광복의 기쁨과 분단의 아픔을 노래한 대중가요>

    광복과 함께 조선레코드회사가 설립되었으나, 음반을 제작할 장비와 물자가 거의 없었다. 이 사이 해방가요 1사대문을 열어라가 발매되었고, 1948년 한국가수협회 결성되면서 초대회장으로 남인수가 선출되었다. 이 시기 음악의 특징이라면 분단을 예견하고 애환을 표현한 노래가 다수 발표되었다는 점이다.

     

    <1950년대, 한국전쟁 속에 피어난 위대한 대중가요>

    한국전쟁 이후 발표된 앨범들은 작사. 작곡. 편곡. 제작사. 발표연도 등이 불명확하게 방치된 채 안타까운 역사로 남아 있다. 그러나 피난지였던 대구와 부산을 중심으로 쇼무대와 악극공연, 70여 개의 레코드사가 활발하게 번성하면서 대중음악이 전쟁의 상처를 치유해주는 역할을 담당했다. 또한 미8군 무대가 생성되는 가운데 영화주제가 역시 전성기를 맞이했다.

     

    <1960년대, 다양한 장르가 공존한 대중가요의 전성시대>

    1958년 첫 LP음반이 제작된 이래 60년대 대중가요는 산업규모로 성장한 특징을 지닌다. 국내 최초 밴드인 키보이스(Key Boys)와 최초의 록 앨범을 발표한 애드 훠(Add 4), 그리고 포크 앨범, 번안가요 등이 특히 큰 사랑을 받았다. 66년부터 스테레오 사운드로 LP가 제작되었으며, 68년 펄시스터즈를 시작으로 신중현 사단이 본격적으로 구축되기 시작했다.

     

    <1970년대, 빛과 그림자로 양분된 청년문화의 시대>

    군사정권의 통제와 기성문화에 반기를 든 청년문화의 기운이 드셌던 이 시기에 김민기, 양희은, 송창식, 윤형주, 서유석, 김세환, 4월과 5월 등의 포크 계열 뮤지션과 남진, 나훈아, 한대수 등의 대형 가수들이 인기몰이를 시작했다. 그러나 대마초 파동으로 대중가요계는 주춤하게 되었고, 이 틈 사이에 대학가요제와 해변가요제 등 가요제가 찬란한 80년대 대중가요의 인프라를 구축하는데, 이는 대중가요 르네상스를 이끌어내는데 큰 역할을 담당했다.

     

    <1980년대, 다양성이 공존한 대중음악의 르네상스 시대>

    60년대 후반 김트리오로 처음 등장했던 조용필의 독주가 확연히 시작된 시기이다. 다양한 뮤지션과 풍성한 장르가 등장하면서 주류와 언더의 경계가 모호했던 시기이기도 하다. 또한 대중음악의 수준이 한 단계 향상되면서 이문세, 변진섭, 신승훈, 인순이, 김완선, 박남정, 조동진, 김현식, 유재하 등 실력파 뮤지션까지 등장했다.

     

    <1990년대, 10대 신세대 문화가 견인한 대중음악의 황금기>

    유례가 없는 대중들의 관심과 참여로 다수의 앨범이 100만장 이상 판매되던 시기였다. 김건모, 이승환, 신승훈 등이 주도하던 가요계는 서태지와 아이들이 신드롬을 형성하면서 신세대 문화의 기폭제로 작용했다. 또한 대형 기획사의 스타시스템이 구축되면서 H.O.T, S.E.S, 젝스키스, 베이비복스 등 아이돌 1세대 그룹이 씬을 장악하기 시작했다.

     

    <2000년대, 한류 K-POP과 인디 문화 시대>

    인터넷 기반의 대중음악의 변화는 글로벌 문화로 진화되었다. H.O.T의 북경 공연 이후 한류라는 용어가 등장하기 시작했으며, 2010년 소녀시대를 필두로 카라, 동방신기, 슈퍼주니어 등이 국내외에서 커다란 인기를 얻기 시작했다. 90년대 언더그라운드라 할 수 있는 인디가 꾸준하게 유지되면서 장기하와 얼굴들을 필두로 하는 새로운 대중음악과 싸이의 기록적인 히트는 K-POP의 우수성을 지구촌으로 확대시키는 역할을 담당해 나오고 있다.

     

     

    원문: https://music.bugs.co.kr/musicpost/BUTP6FZBT8SKH71WN51G

     

    한국 대중음악 100년의 역사와 기록 2편 - 1930년대 부터 50년대 대표곡 26선

    벅스와 한국대중음악박물관(kpopmuseum.com)에서는 광복 70주년을 기념하면서 한국대중음악 100년의 역사를 기념하고자 ‘한국대중음악 100년의 역사와 기록’이라는 타이틀로 본 연재를 게재한다. �

    music.bugs.co.kr

    <1930년대, 일제 강점기 시대의 슬픔을 달랜 대중가요>

     

    대중음악으로써 제대로 된 발걸음을 내딛기 시작한 1930년대의 한국대중음악은 창가와 신민요, 유행곡, 서정소곡, 애정소곡, 영화주제가, 가요곡, 신가요, 만요 등이 주를 이루는 음반이 발매되었다. 1930년대 대중가요는 주로 단음계를 사용한 독특한 형태의 트로트가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민요적 전통에 외래의 노래문화를 접목시킨 신민요가 양대양식으로 자리잡았다.

     

    당시 대중음악을 주도한 레이블은 오케레코드로써 이철이라는 인물을 중심으로 메이저 음반사로 군림했다. 이 외에도 씨에론, 태평을 비롯해 밀리온, 뉴코리아, 디어 등 군소 레코드들이 대거 등장하면서 대중음악이 산업으로써 성장하게 된다.

     

    당시 기록에 의하면 1935년경 유성기의 보급대수는 35만 대, 판매된 SP음반은 백만 장에 가까웠다. 또한 라디오의 영향력이 그리 크지 않았던 시기를 지나 1930년대 후반에는 부산, 평양, 청진, 함흥, 이리 등 5개 지역방송국이 설립되었고 라디오 보급대수도 2만대를 넘어서기 시작했다.

Designed by Tistory.